발레리 카멘스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레리 카멘스키는 러시아의 은퇴한 아이스하키 선수이다. 그는 소련과 러시아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했으며, 1996년 콜로라도 애벌랜치 소속으로 스탠리 컵을, 1988년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2년 HC 히미크 보스크레센스크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CSKA 모스크바를 거쳐 1991년 퀘벡 노르딕스에 입단하며 NHL에 진출했다. 퀘벡, 콜로라도, 뉴욕 레인저스, 댈러스 스타스, 뉴저지 데블스 등에서 활약했으며, 2003년 러시아로 돌아와 히미크 보스크레센스크에서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스크레센스크 출신 - 발레리 젤레푸킨
발레리 젤레푸킨은 소련과 러시아의 아이스하키 선수로, 다양한 리그에서 활약하며 올림픽 은메달과 세계 선수권 대회 동메달을 획득하는 등 국제적인 활약을 펼쳤다. - 보스크레센스크 출신 - 이고리 라리오노프
이고리 라리오노프는 소련과 러시아를 대표한 아이스하키 선수로, 소련 리그와 NHL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치며 다수의 우승을 차지하고 트리플 골드 클럽에 가입한 후 지도자와 사업가로 활동하고 있다. - 스위스에 거주한 러시아인 - 아나톨리 루나차르스키
아나톨리 루나차르스키는 러시아의 마르크스주의 혁명가이자 정치가, 문예 비평가, 작가로서, 10월 혁명 후 최초의 소비에트 정권에서 인민 교육위원을 맡아 교육 및 문화 정책을 이끌었으며, 볼셰비키 운동에 참여했고 '건신론'을 주창했지만 만년에는 외교관으로 활동하다 사망했다. - 스위스에 거주한 러시아인 - 알렉산드르 포포프 (수영 선수)
알렉산드르 포포프는 올림픽 자유형 2연패로 명성을 떨친 러시아 수영 선수 출신 스포츠 외교관으로, 부상 극복 후 화려하게 복귀했으나 IOC 위원 활동 중 뇌물 수수 혐의에 휘말리기도 했다. - 소련의 올림픽 아이스하키 참가 선수 - 이고리 라리오노프
이고리 라리오노프는 소련과 러시아를 대표한 아이스하키 선수로, 소련 리그와 NHL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치며 다수의 우승을 차지하고 트리플 골드 클럽에 가입한 후 지도자와 사업가로 활동하고 있다. - 소련의 올림픽 아이스하키 참가 선수 - 발레리 하를라모프
발레리 하를라모프는 HC CSKA 모스크바와 소련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1970년대 세계 최고의 아이스하키 선수 중 한 명으로, 11번의 소련 리그 우승, 8번의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우승, 올림픽 금메달 2개를 획득하고 블라디미르 페트로프, 보리스 미하일로프와 함께 소련 하키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나 교통사고로 사망, 사후 국제 아이스하키 연맹 명예의 전당과 하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발레리 카멘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포지션 | 레프트 윙 |
슈팅 방향 | 오른쪽 |
신장 | 185 cm |
몸무게 | 89 kg |
출생일 | 1966년 4월 18일 |
출생지 |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주 보스크레센스크 |
드래프트 | 129번째 전체 |
드래프트 연도 | 1988년 |
드래프트 팀 | 퀘벡 노르딕스 |
선수 경력 시작 | 1982년 |
선수 경력 종료 | 2005년 |
클럽 경력 | |
소속팀 | 히미크 보스크레센스크 CSKA 모스크바 퀘벡 노르딕스 암브리 피오타 콜로라도 애벌랜치 뉴욕 레인저스 댈러스 스타스 뉴저지 데블스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팀 | 소련 러시아 |
수상 내역 | |
수상 | 스탠리 컵 1회 |
메달 기록 | |
스포츠 | 아이스하키 |
대회 | 동계 올림픽 |
메달 | 금메달 |
대회 | 세계 선수권 대회 |
메달 | 금메달 |
메달 | 금메달 |
메달 | 금메달 |
메달 | 은메달 |
메달 | 동메달 |
대회 | 캐나다컵 |
메달 | 은메달 |
대회 |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메달 | 금메달 |
메달 | 동메달 |
대회 |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 |
메달 | 금메달 |
스포츠 | 아이스하키 |
대회 | 동계 올림픽 |
메달 | 은메달 |
2. 클럽 경력
모스크바주 보스크레센스크 출신인 카멘스키는 1982년 고향 팀 히미크 보스크레센스크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CSKA 모스크바를 거쳐 1991년 내셔널 하키 리그(NHL)에 진출, 퀘벡 노르딕스, 콜로라도 애벌랜치, 뉴욕 레인저스, 댈러스 스타스, 뉴저지 데블스에서 활약했다. 특히 콜로라도 애벌랜치 소속으로 1996년 스탠리 컵 우승에 기여했다.[1] 2003년 러시아로 돌아가 히미크 보스크레센스크에서 2005년까지 뛰고 은퇴했다.
2. 1. 소련 리그 (1982-1991)
모스크바주 보스크레센스크 출신인 카멘스키는 1982년 고향 보스크레센스크를 연고로 하는 소비에트 챔피언십 리그의 히미크 보스크레센스크에 입단했으며, 1985년에 CSKA 모스크바로 이적했다.[1] 소련 리그에서 히미크 소속으로 329경기에 출전하여 122골을 넣었다. 1988년에는 내셔널 하키 리그(NHL) 드래프트 7라운드에서 퀘벡 노르딕스에 전체 129위로 지명되었고, 소련 붕괴 후인 1991년에 퀘벡 노르딕스에 입단했다.[1]2. 2. NHL 경력 (1991-2002)
1991년에 내셔널 하키 리그(NHL)의 퀘벡 노르딕스에 입단하였다.1991-92 시즌부터 퀘벡의 선수로 활약한 카멘스키는 팀의 재정 악화로 인해 해체 위기에 놓이자 1994-95년 시즌에 스위스의 프로 아이스하키팀인 HC 암브리 피오타로 임대 선수 생활을 했다. 이후 퀘벡 노르딕스가 연고 이전 및 인수를 통해 콜로라도 애벌랜치로 재창단되자 다시 합류하여 클로드 르미외와 함께 팀의 좌우 쌍포로 활약하여 밴쿠버 캐넉스, 시카고 블랙호크스, 디트로이트 레드윙스, 플로리다 팬서스를 연파하고 1996년 스탠리 컵 쟁취에 기여했다.[1] 카멘스키는 첫 시즌인 1995-96 시즌에서 승점 85점을 기록하였다. 1998년 NHL 올스타전에 월드팀으로 참가하였으며, 1999-2000 시즌에 뉴욕 레인저스로 이적하였다. 이후 댈러스 스타스와 뉴저지 데블스 등의 NHL 팀에서 활약하다가 2003년에 다시 러시아로 돌아갔다.그는 1997-98 시즌 가장 기억에 남는 골 중 하나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패스를 받아 공중에서 회전하며 득점했다.[2] 이 골은 NHL 98 비디오 게임의 오프닝 인트로에 사용되었다.[3] 그는 또한 퀘벡 시티에서 덴버로 이전한 이후 애벌랜치의 역사상 첫 골을 넣었다.
2. 3. 러시아 복귀 및 은퇴 (2003-2005)
2003년에 카멘스키는 러시아로 돌아와 선수 시절 첫 팀인 러시아 슈퍼 리그의 히미크 보스크레센스크에서 활동하다가 2005년에 은퇴했다. 그는 히미크의 선수로서 소련 시절을 포함하여 329경기에 출전하고 122골을 넣었다.[1]3. 국가대표팀 경력
발레리 카멘스키는 1980년대 중반부터 소련 국가대표로 활약했으며, 소련 붕괴 후에는 러시아 국가대표로 활동했다. 소련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164경기에 출전하여 81골 35어시스트를, 러시아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23경기에 출전하여 6골 9어시스트를 기록했다.[1]
스탠리 컵(1996), 올림픽 금메달(1988),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1986, 1989)을 모두 획득하여 트리플 골드 클럽에 가입했다. 1988년 올림픽 우승으로 소련 명예 체육 명인 칭호와 노력용맹메달을 받았다.
3. 1. 소련 국가대표팀 (1985-1991)
1985년과 1986년에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동메달과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1986년 2월 10일에 스웨덴과의 친선 경기를 통해 소련 국가대표 첫 경기을 치렀다. 이 경기는 7-4로 소련이 승리했다. 1988년에 캐나다 캘거리에서 열린 올림픽에 소련 국가대표로 참가하였으며, 8경기에 출전하여 4골을 넣고 어시스트 2개를 기록하여 소련 대표팀의 금메달 획득에 기여하였다. 또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에서도 소련 국가대표로 활약하여 1986년 대회, 1989년 대회, 1990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1987년 대회에서 준우승을 했다. 또 1987년에 캐나다컵에 소련 대표로 참가하여 준우승을 기록했다. 소련 국가대표로서 164경기에 출전하여 81골, 35어시스트를 기록했다.3. 2. 러시아 국가대표팀 (1994-2000)
소련 붕괴 후 러시아 국가대표가 되었으며, 1994년 4월 22일 프랑스와의 경기를 통해 러시아 대표팀 선수로서 첫 경기를 가졌다. 이 경기는 6-0으로 러시아가 승리했다.[1] 이후 1994년과 2000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였고, 1998년 일본 나가노에서 열린 올림픽에 참가하여 은메달을 획득하였다.[1] 그는 러시아 국가대표로서 23경기에 출전하여 6골, 9어시스트를 기록했다.[1]4. 업적 및 수상
대회 | 종목 | 소속팀 | 결과 |
---|---|---|---|
1985년 |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CSKA 모스크바 | 동메달 |
1986년 |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CSKA 모스크바 | 금메달 |
해당 없음 | 소비에트 리그 | CSKA 모스크바 | 금메달 |
1986년 | 세계 선수권 대회 | CSKA 모스크바 | 금메달 |
해당 없음 | 소비에트 리그 | CSKA 모스크바 | 금메달 |
1987년 | 세계 선수권 대회 | CSKA 모스크바 | 은메달 |
1987년 캐나다컵 | 캐나다컵 | CSKA 모스크바 | 은메달 |
1988년 | 동계 올림픽 | CSKA 모스크바 | 금메달 |
해당 없음 | 소비에트 리그 | CSKA 모스크바 | 금메달 |
해당 없음 | 소련 컵 | CSKA 모스크바 | 금메달 |
1989년 | 세계 선수권 대회 | CSKA 모스크바 | 금메달 |
해당 없음 | 소비에트 리그 | CSKA 모스크바 | 금메달 |
1990년 | 세계 선수권 대회 | CSKA 모스크바 | 금메달 |
1995–96 | 스탠리 컵 | 콜로라도 애벌랜치 | 우승 |
1998년 | 동계 올림픽 | 뉴욕 레인저스 | 은메달 |
2004–05 | 러시아 슈퍼리그 | 히미크 보스크레센스크 | 하키에 대한 헌신상 |
5. 기록
모스크바주 보스크레센스크에서 태어난 카멘스키는 1982년 고향 팀 히미크 보스크레센스크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1985년 CSKA 모스크바로 이적했고, 1988년 내셔널 하키 리그(NHL) 드래프트에서 퀘벡 노르딕스에 지명되었다. 소련 붕괴 후 1991년 퀘벡 노르딕스에 합류했다.
1994-95 시즌에는 팀의 재정 문제로 스위스의 HC 암브리 피오타에서 임대 선수로 뛰었다. 퀘벡 노르딕스가 콜로라도 애벌랜치로 재창단되자 복귀하여 클로드 르미외와 함께 활약, 1996년 스탠리 컵 우승에 기여했다. 1998년 NHL 올스타전에 참가했고, 1999-2000 시즌에 뉴욕 레인저스로 이적했다. 이후 댈러스 스타스, 뉴저지 데블스를 거쳐 2003년 러시아로 돌아와 히미크 보스크레센스크에서 뛰다가 2005년에 은퇴했다.
카멘스키는 소련과 러시아 국가대표로 활약하며 1988년 동계 올림픽 금메달,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 3회 우승(1986, 1989, 1990)을 달성하여 트리플 골드 클럽에 가입했다. 1988년 올림픽 우승으로 소련 명예 체육 명인 칭호와 노력용맹메달을 받았다.[1]
5. 1. 정규 시즌 및 플레이오프
colspan="3" | | 정규 시즌 | 플레이오프 | ||||||||||
---|---|---|---|---|---|---|---|---|---|---|---|---|
시즌 | 팀 | 리그 | GP | G | A | Pts | PIM | GP | G | A | Pts | PIM |
1982–83 | 힘미크 보스크레센스크 | 소련 | 5 | 0 | 0 | 0 | 0 | — | — | — | — | — |
1983–84 | 힘미크 보스크레센스크 | 소련 | 20 | 2 | 2 | 4 | 6 | — | — | — | — | — |
1984–85 | 힘미크 보스크레센스크 | 소련 | 45 | 9 | 3 | 12 | 24 | — | — | — | — | — |
1985–86 | CSKA 모스크바 | 소련 | 40 | 15 | 9 | 24 | 8 | — | — | — | — | — |
1986–87 | CSKA 모스크바 | 소련 | 37 | 13 | 8 | 21 | 16 | — | — | — | — | — |
1987–88 | CSKA 모스크바 | 소련 | 51 | 26 | 20 | 46 | 40 | — | — | — | — | — |
1988–89 | CSKA 모스크바 | 소련 | 40 | 18 | 10 | 28 | 30 | — | — | — | — | — |
1989–90 | CSKA 모스크바 | 소련 | 45 | 19 | 18 | 37 | 38 | — | — | — | — | — |
1990–91 | CSKA 모스크바 | 소련 | 46 | 20 | 26 | 46 | 66 | — | — | — | — | — |
1991–92 | 퀘벡 노르디크스 | NHL | 23 | 7 | 14 | 21 | 14 | — | — | — | — | — |
1992–93 | 퀘벡 노르디크스 | NHL | 32 | 15 | 22 | 37 | 14 | 6 | 0 | 1 | 1 | 6 |
1993–94 | 퀘벡 노르디크스 | NHL | 76 | 28 | 37 | 65 | 42 | — | — | — | — | — |
1994–95 | HC 암브리-피오타 | NDA | 12 | 13 | 6 | 19 | 2 | — | — | — | — | — |
1994–95 | 퀘벡 노르디크스 | NHL | 40 | 10 | 20 | 30 | 22 | 2 | 1 | 0 | 1 | 0 |
1995–96 | 콜로라도 아발란체 | NHL | 81 | 38 | 47 | 85 | 85 | 22 | 10 | 12 | 22 | 28 |
1996–97 | 콜로라도 아발란체 | NHL | 68 | 28 | 38 | 66 | 38 | 17 | 8 | 14 | 22 | 16 |
1997–98 | 콜로라도 아발란체 | NHL | 75 | 26 | 40 | 66 | 60 | 7 | 2 | 3 | 5 | 18 |
1998–99 | 콜로라도 아발란체 | NHL | 65 | 14 | 30 | 44 | 28 | 10 | 4 | 5 | 9 | 4 |
1999–2000 | 뉴욕 레인저스 | NHL | 58 | 13 | 19 | 32 | 24 | — | — | — | — | — |
2000–01 | 뉴욕 레인저스 | NHL | 65 | 14 | 20 | 34 | 36 | — | — | — | — | — |
2001–02 | 댈러스 스타스 | NHL | 24 | 3 | 6 | 9 | 2 | — | — | — | — | — |
2001–02 | 뉴저지 데블스 | NHL | 30 | 4 | 8 | 12 | 18 | 2 | 0 | 0 | 0 | 0 |
2003–04 | 힘미크 보스크레센스크 | RSL | 23 | 5 | 9 | 14 | 53 | — | — | — | — | — |
2004–05 | 힘미크 보스크레센스크 | RSL | 57 | 17 | 19 | 36 | 59 | — | — | — | — | — |
소련/러시아 통산 | 329 | 122 | 96 | 218 | 230 | — | — | — | — | — | ||
NHL 통산 | 637 | 200 | 301 | 501 | 383 | 66 | 25 | 35 | 60 | 72 |
5. 2. 국제 경기
Валерий Викторович Каменский|발레리 빅토로비치 카멘스키ru는 1980년대 중반부터 소련 국가대표로 활약했다. 1985년과 1986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각각 동메달과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6년 2월 10일 스웨덴과의 친선 경기를 통해 소련 국가대표 첫 경기를 치렀으며, 이 경기에서 소련이 7-4로 승리했다.[1]1988년 캘거리 동계 올림픽에 소련 국가대표로 참가하여 8경기에 출전, 4골 2어시스트를 기록하며 소련의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1] 세계 아이스하키 선수권 대회에서도 소련 국가대표로 활약하여 1986년, 1989년, 1990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1987년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1987년 캐나다컵에서는 준우승을 기록했다.[1]
소련 붕괴 후에는 러시아 국가대표가 되어 1994년 4월 22일 프랑스와의 경기를 통해 러시아 대표팀 첫 경기를 가졌다. 이 경기에서 러시아는 6-0으로 승리했다.[1] 이후 1994년과 2000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고,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1]
카멘스키는 소련 국가대표로서 164경기에 출전하여 81골 35어시스트를, 러시아 국가대표로서는 23경기에 출전하여 6골 9어시스트를 기록했다.[1] 그는 스탠리 컵(1996), 올림픽 금메달(1988), 세계 선수권 대회 금메달(1986, 1989)을 모두 획득하여 트리플 골드 클럽에 가입했으며, 1988년 올림픽 우승으로 소련 명예 체육 명인 칭호와 노력용맹메달을 받았다.[1]
연도 | 팀 | 대회 | 결과 | GP | G | A | Pts | PIM |
---|---|---|---|---|---|---|---|---|
1984 | 소련 | EJC | 5 | 1 | 3 | 4 | 0 | |
1985 | 소련 | WJC | 7 | 2 | 2 | 4 | 8 | |
1986 | 소련 | WJC | 7 | 7 | 6 | 13 | 6 | |
1986 | 소련 | WC | 9 | 2 | 0 | 2 | 8 | |
1987 | 소련 | WC | 10 | 5 | 3 | 8 | 6 | |
1987 | 소련 | CC | 9 | 6 | 1 | 7 | 6 | |
1988 | 소련 | OG | 8 | 4 | 2 | 6 | 4 | |
1989 | 소련 | WC | 10 | 4 | 4 | 8 | 8 | |
1990 | 소련 | WC | 10 | 7 | 2 | 9 | 20 | |
1991 | 소련 | WC | 10 | 6 | 5 | 11 | 10 | |
1994 | 러시아 | WC | 5위 | 6 | 5 | 5 | 10 | 12 |
1998 | 러시아 | OG | 6 | 1 | 2 | 3 | 0 | |
2000 | 러시아 | WC | 11위 | 6 | 0 | 0 | 0 | 10 |
주니어 통산 | 19 | 10 | 11 | 21 | 14 | |||
시니어 통산 | 84 | 40 | 24 | 64 | 84 |
참조
[1]
뉴스
After 104 minutes, Colorado wins the Stanley Cup
https://www.nytimes.[...]
1996-06-11
[2]
웹사이트
Kamensky amazing goal
https://www.youtube.[...]
YouTube
2012-02-03
[3]
웹사이트
NHL '98 intro
https://www.youtube.[...]
YouTube
2012-02-01
[4]
뉴스
Федоров, Озеров и Каменский включены в Зал славы ИИХФ
https://www.sport-ex[...]
2023-06-17
[5]
뉴스
Fedorov among IIHF Hall of Fame class
https://www.tsn.ca/n[...]
2023-06-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